위험물 기능장 응시 자격 및 시험일정, 취득 정보
발화성, 인화성, 가연성, 폭발성 물품 등 위험물로 취급되는 물품에 대해 취급과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만들어진 관련 자격증이 있습니다. 바로 위험물기능장인데요. 해당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자격증이기도 합니다. 이를 취득하기 위한 자격요건 및 관련 정보 확인해 보겠습니다.
![위험물 기능장 응시 자격 위험물 기능장 응시 자격](https://blog.iseul.kr/wp-content/uploads//Master-Craftsman-Hazardous-material.png)
위험물기능장 시험 응시자격은?
관련 기술자격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와 순수경력자로 구분해 응시자격을 나누어 놓았는데요. 기술자격소지자의 경우 유사 분야 또는 동일 분야 기능장 이상, 외국에서 동일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, 산업기사 취득 후 5년, 또는 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7년의 실무경력이 있어야 합니다. 이외에 순수경력자라면 9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어야 시험을 치를 수 있습니다.
위험물기능장 시험 일정
올해의 경우 2회에 걸쳐 위험물기능장 국가자격 시험이 치러집니다. 71회 시험은 이미 지난 2월에 필기 시험을 치른 후 5월 현재 실기시험이 진행 중이며, 오는 6월 17일에 합격자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. 72회 정기 기능장 시험은 5월 23일부터 필기원서접수가 진행되며 6월 중 필기시험 후 6월 합격자 발표를 거쳐 7월에 실기 원서 접수, 8월에 실기시험을 거쳐 최종합격자는 9월 16일에 발표될 예정입니다.
위험물기능장 시험 주요 정보
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고 소방청이 주관하는 이 시험은 4지 택일형 객관식 60문항의 필기와 필답형의 실기 시험으로 진행됩니다. 필기에서는 화재이론, 위험물 제조소 등 위험물 안전관리,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이 출제되며, 실기에서는 위험물 취급 실무 과목에 대한 문제를 풀이하게 됩니다. 합격을 위해서는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