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과목 종류 구분 필수과목 과 선택과목은?
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오는 11월 17일에 치러집니다. 지난해부터 도입된 시험 체제 변화에 따라 국어와 수학영역은 공통과목+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되는데요. 구체적인 수능 과목 종류 2023학년도 수능 시행세부계획을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.
[ads-m1]

시험 영역별 수능 선택과목 구분
2023년 수능은 영역별로 국어와 수학, 영어, 한국사, 탐구(사회, 과학, 직업) 등으로 구분되며, 추가적으로 제2외국어 및 한문 영역이 있습니다. 국어와 수학은 공통과목 외에 국어는 화법과 작문, 언어와 매체 중 1과목을 선택하며, 수학은 확률과 통계, 미적분, 기하 중 1개를 선택해 응시합니다. 반면 영어, 한국사, 제2외국어 및 한문 영역은 절대평가이며, 탐구영역은 사회, 과학 구분 없이 전체 17과목 중 최대 2과목을 선택 가능합니다. 또 직업탐구 영역 역시 6과목 가운데 최대 2과목 선택을 하는 식입니다.
[ads-m2]
한국사 및 탐구 영역 과목 주요 사항
4교시에 치러지는 한국사와 탐구영역 시험에서는 수험생에게 한국사와 탐구 영역 답안지를 분리해 별도로 제공하게 되는데요. 이 중 한국사 영역의 경우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응시해야 하는 수능 필수영역 이며 미응시자는 자동으로 수능 응시 자체가 무효 처리되며 성적 전체가 제공되지 않습니다. 이는 한국사가 고등학교 졸업자라면 갖춰야 할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이기 때문입니다.
▶ 세계 대학 순위 및 한국 대학 순위
▶ 나이스 대국민서비스 생활기록부 출력 및 학생 학부모 서비스 이용하기
수능 과목 ebs 교재와의 연계율은?
수능 과목들은 ebs 수능 교재와 50% 정도의 연계율을 보이는데요. 이는 해당 교육 과정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되는 것이며, 수능 후 문항별 성취기준 등 관련 근거를 제공할 예정이기에 이를 통해 관련 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