척수손상 레벨 분류 및 재활 운동 방법

척수손상 레벨 분류 및 재활 운동 방법

외부 충격 및 추간판 탈출 등으로 인해 척수병증 및 척수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한 사지 및 하지마비 증세로 이어지기도 하는데요. 대체로 교통사고나 추락 등의 사고로 주로 발생하며, 손의 감각 및 근력이 떨어지는 게 느껴진다면 관련 검사를 통해 증상 확인이 필요합니다. 척수손상 레벨 분류 및 재활 운동 방법 확인해 보겠습니다.

척수손상 레벨

척수 손상의 다양한 사례

100만 명당 약 700명 꼴로 발생하며, 40대 이하 남성 청년 및 장년 층의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. 아무래도 젊고 활동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요. 대개 70% 비율로 교통사고 및 추락, 스포츠 손상 등 외상에 의해 발생하며, 그외에 척수종양 및 척수경색, 척수경색, 감염 등 비외상성 손상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

척수손상 분류

국제척수손상학회에서 근력과 감각을 체크해 5개의 등급으로 손상 정도를 구분하고 있는데요. A등급의 경우 손상부위 아래로 완전 마비가 된 것을 의미하며, B등급은 만지는 감각만 있지만 움직일 수 없는 상태, C등급은 만지는 감각이 있고, 다리가 약간 움직이는 상태, D는 다리에 어느 정도 힘이 있어 걷거나 서기가 조금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며, E등급은 회복을 통해 근력과 감각이 돌아온 경우입니다.

[ads-m1]

레벨별 척수손상 재활 운동 방법

환자의 척수손상 레벨 및 잔여 근력 최대 기능 정도에 맞는 운동치료와 작업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. 재활은 환자 컨디션이 되는 한 되도록 빠를수록 좋으며, 최소 하루 1회 이상 관절 운동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 이는 근력 저하로 인한 관절구축을 막기 위한 것으로, 경직이 나타날 경우 관절 운동 횟수를 2~3회까지 늘리기도 합니다.